106편 7장, 운명의 마지막
7분 강의 | 이것은 유란시아서 106편, 7장, “운명의 마지막”에 대한 해설이다. 원문의 저자는 멜기세덱이다.
이 주제는 우리의 일상생활과 너무 거리가 멀어서, 일종의 철학적 체조를 머리로 연습한다고 생각하는 것이 좋다. 해도 그만, 못해도 그만. 우리의 운명에 아무런 영향이 없다고 보아도 좋다. |
무한 통합 개념의 문제점 | 실체를 무한히 통합한다는 개념의 문제는 이것이 우주 발전의 최후, 모든 가능한 것이 체험으로 실현된다고 가정하는 사실에 본래부터 있다.
|
세 절대자와 운명 | 삼위일체의 의지가 운명을 확정한다.
우주 운명 종결자의 행위가 아마도 운명을 마무리하고, 운명은 절대 삼자일체 안에서 최상위ㆍ궁극위와 관계된다.
최종 운명은 실존적이자 경험으로 도달하며, 신 절대자가 상관하는 듯하다.
|
최종 운명 | ![]() 무제한 절대자가 무한한 우주와 상관하는 것은 영원한 미래까지 계속될지 모르지만, 위의 가설은 타당하다. 필사자ㆍ상물질자ㆍ영ㆍ최후자ㆍ초월자들은 기타 실체들과 함께 잠재적 최종 운명을 가지고 있으나, 어떤 존재나 우주도 그러한 운명을 완벽하게 성취할 것인가 우리는 의심이 든다.
필사자가 하나님을 최종으로 (완벽하게) 이해할 수 없다 하더라도 인간은 낙심해서는 안 된다.
무한한 영과 영원한 아들은 영원의 존재이고 아버지를 무한히 이해한다.
|
세 절대자의 현실화 | 대우주에 사는 인간에게 총우주 개념은 무한한 듯이 보인다.
아득한 미래에 총우주가 완성될 때, 의심할 여지 없이, 그 역사 전체를 시작일 뿐이라고 우리 모두가 돌아볼 것이다. 세 가지 절대 잠재성이 완벽히 현실화될 수 있다면, 총실체의 마지막 통합을 상상할 수 있다.
아무리 신중하게 말해도, 이러한 궁극의 사건들은 아득히 먼 후일의 이야기이다.
|
- 106편 6장, 절대 단계의 통합
- 106편 8장, 가장 높은 삼자일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