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저(良渚) 문화는 고조선 이전의 한국인 문화인가?

고조선은 기원전 2333년까지 거슬러 올라 간다. 그 이전에 한국인은 어디서 살았을까? 아직 한반도까지 미처 오지 못하고 다른 곳에서 살거나 이동 중이었을 것이다.

양저 (또는 량주,良渚) 문화는 기원전 3300 – 2200년에 양자강 입구 량주, 지금의 항저우(抗州) 부근에서 발달한 신석기 시대의 문화이다. 물론 이 문화는 유사 이전이라 양저 사람이 글을 남기지 않았으므로 이들이 어느 민족의 사람인지는 알 수 없다. 다만 지난 4천년 동안 중국인이 이 지역을 모두 차지했으니 중국인의 문화라고 생각하기가 쉽겠지만, 자세한 인물의 조각상을 남기지도 않았으니, 과연 어떤 사람들이 당시에 거기서 살고 있었는가 짐작하기가 힘들다.

양저 사람들이 곰을 숭상했다는 이야기가 있고 중국인은 전통적으로 용을 숭상했으니, 양저인이 중국인이 아니라 조선족이었는지 모른다. 한국인은 고조선 시대부터 곰을 숭상했고, 단군 신화에도 웅녀가 나온다. 혹시 한국인의 선조가 우랄 산 밑에서 해가 뜨는 동쪽으로 향하여 가는 도중에 남쪽으로 방향을 돌려 양자강 입구에서 얼마 동안 살다가 밀려오는 중국인에 밀려 배를 타고 한반도에 정착한 것은 아닐까?

중국인 학자들은 양저문화가 동이족의 옛 문화라고 한다. 더군다나 이들은 곰을 숭상하는 동이족이었다 한다. 그러면 양저인이 고조선 이전의 조선 사람이었을지도 모른다. 과학적 증거도 없이 우기자는 이야기는 아니고, 한국인이 조상의 뿌리에 관하여 관심을 가지고 혹시 양저 문화가 고조선의 문화와 무슨 관계가 있는 조사해 볼 필요가 있는 것 같다.

양저 문화는 내몽고 요녕 지방에서 발달했던 홍산(紅山) 문화(기원전 5000-3000년 경)의 영향을 받았다고 한다. 홍산 문화의 옥기는 사람이 일일이 옥을 깨고 갈아서 조각하였고 바퀴를 쓴 흔적이 없다. 그러나 양저 사람들은 옥기를 만드는 데 연옥을 썼고 바퀴를 회전하여 옥기를 가공하는 기술을 사용한 흔적이 있다. 일종의 고대의 산업 혁명이라고 볼 수 있다. 여기에 있는 옥기는 대체로 타이완의 빠리(八里) 지방의 십삼행(十三行) 박물관에 전시된 옥기이다.

양저 문화 옥기의 제일 큰 특징은 신인수면(神人獸面) 무늬이다.

 

1. 신인수면 무늬 관형옥잠(冠形玉簪)



타이완 십삼행 박물관

첫째 옥잠은 여자들이 쓰는 옥비녀. 아마도 제사지내는 여자 사제 또는 무당이 머리에 권위를 표시하기 위하여 꽂은 것 같다. 가운데 구멍은 머리에다 고정시키기 위한 것. 이 무늬는 대체로 두 부분으로 나뉘어 있는데, 사제 또는 무당이 동물을 타고 앉아 있는 모습이다. 신인의 발톱이 곰의 발톱이라는 설이 있는데 (이기환 기자), 출처가 확인되어야 할 일이다. 신인수면 무늬에서 신인의 발톱을 보면 과연 곰의 발톱처럼 생겼다.

들소나 다른 동물의 뿔에도 비슷한 수면이 새겨져 있는데, 중국인 전문가들은 이것이 호랑이라고 주장한다. 이것도 일리가 있다. 단군 신화에 따르면, 환웅이 웅녀와 결혼하여 단군을 낳았고, 호랑이 부족의 여자는 견디지 못하여 떠났다고 한다. 바로 이 신인수면 옥패는 단군신화를 언급하는지 모른다. 곰을 숭상하는 한 동이족과 호랑이를 숭상하는 다른 동이족 사이에 전쟁이 있었는데, 곰 부족이 호랑이 부족을 다스렸다는 것을 이야기하는 것일까?

곰 부족이 양저 지역에 오래 남지는 않았을 것이다. 아마도 남쪽에서 밀려 오는 중국인의 인파에 밀려 배를 타고 한반도로 떠났을 것이다. 예맥 사람들이 호랑이를 숭상했다고 하니, 그들이 호랑이 부족이었는가? 그들이 곧장 동쪽으로 가서 압록강을 건너 한반도에 정착한 부족이었을까? 양저 사람이 동이족이라는 중국 학자들의 말이 사실이라면, 이들은 양자강까지 내려 왔다가 결국은 배를 타고 한반도로 갔을 것이다.

둘째 옥잠에는 무늬가 전혀 없다. 등급이 낮은 무당 조수가 쓰는 옥비녀였는 듯.

이것은 전형적인 신인 수면 무늬를 보여 준다. 신인의 얼굴은 사다리꼴이고 사자처럼 머리털이 사방으로 뻗어 있다. 양저 사람들이 이런 모습을 한 족장을 섬겼을지도 모른다. 사제가 타고 있는 호랑이의 눈은 몸에 비해서 굉장히 크다. 신인의 발톱은 곰의 발톱이라고 한다.

중국인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수면의 가면은 동이(東夷)족의 풍습이라고 하니, 아마도 한민족을 언급하는 것 같다. 동이족의 가장 오래 된 수면문은 요녕 지방의 홍산문화에 있는 수면문이라 한다.


대영박물관.

이것도 아마 머리 장식에 쓰는 듯. 뒤쪽에 머리나 모자에 붙이도록 구멍이 나 있다. 사제의 모습은 잘 되어 있으나 타고 있는 짐승의 모양은 간략하게 처리되어 있다.

 

 

2. 수면 옥패


이 山자형 옥패에는 신인이 빠져 있다. 이러한 옥패는 부족 사회에서 신분을 나타내는 듯. 제일 높은 사람이 군권을 쥔 자(王)이고, 임금이 호랑이 가면을 쓴 무당을 통어한다는 것을 뜻하는지도 모른다. 장식이 계급이 높을수록 복잡하고 낮을수록 간단한 것 같다.


이 옥패에는 두 개의 큰 구멍이 뚫려 있는데, 개구리 두 마리가 붙어 있는 것 같기도 하다.

이 옥패 위쪽 부분에는 구멍이 뚫려 있는데 아마 옷에 걸기 위한 것인 듯. 귀족의 장식이었을지 모른다. 큰 눈을 한 짐승, 아마도 호랑이의 모습이 새겨져 있다.

 

3. 옥황(玉璜)


여기에는 신인도 없고 곰의 무릎이나 발톱도 없다. 지위가 무당보다 낮은 사람의 장식물이었을 것이다.
위쪽에 뚫린 작은 구멍들은 아마도 머리에 또는 옷가지에 실로 붙들어 두느라고 필요했던 것 같다.

 

 

4. 옥종(玉琮)



원시 사회에서 처음에는 사제가 제일 높았을 것이다. 부족사회가 형성되고 나서, 임금이 차츰 나타난다. 옥종은 신권(神權)을 대표한다고 할 수 있다. 양저 사람들이 신(조상)에게 제사 지낼 때 사용한 예기(禮器)이다. 키가 큰 옥종의 경우에 윗 부분이 약간 크다.

옥종은 제사 지내는 데 쓰이는 네모난 도구인데 가운데 끝까지 둥그런 구멍이 뚫려 있다. 네 귀퉁이에는 호랑이의 눈과 코가 2중으로 생략되어 새겨져 있다. 제사 지낼 때 호랑이를 잡아 바쳤을까? 양저 시대의 종은 홍산문화의 종처럼 네모나게 생겼으나 무늬가 더 발달되어 있다.

대나무 마디를 잘라서 동그라미 모양으로 날카로운 돌을 붙여서 마디를 회전시켜 옥종의 구멍을 뚫었다고 한다. 긴 종의 경우에는 양쪽에서 구멍을 뚫었는데 때로는 두 구멍이 완전히 일치하지 않는 옥종도 있다.

여러 층으로 된 종도 있다. 사제(무당)의 권위가 점점 높아지는 것을 의미할 것이다. 안원전은 막각산에서 출토된 어떤 무덤의 경우 여자 무당이 남자 무당보다 힘이 더 세었다고 한다. 키가 큰 종의 경우에는 호랑이의 눈과 코가 점점 추상적이 되고 간단해진다.

 

5. 옥월(玉鉞)


옥도끼는 군권을 상징한다고 한다. 옥도끼에는 대체로 무늬가 많이 없다. 있어도 간단한 무늬이다.

 

6. 옥벽


옥벽에는 대체로 무늬가 없고 동전처럼 큰 구멍이 뚫려 있다. 돈 모양이 여기서부터 유래했을지 모른다.

 

 

7. 옥조(玉鳥)

양저 사람들은 하늘을 날아 다니는 새가 부러웠는지 모른다. 새 모양을 한 옥패가 많다. 다만 새 머리에는 커다란 눈방울처럼 보이는 모습이 있다. 신인은 호랑이가 아니라 큰 새를 타고 있었는지도 모른다.

 

8. 옥원패


둥그런 옥패에는 둥그런 톱니같은 것으로 옥패를 간 흔적이 보인다. 벌써 이 시대에 대나무나 둥그런 막대기에 부싯돌 같이 단단한 것을 붙여서 옥을 갈았을 것이다.

 

9. 옥촉(玉燭)


십삼행 박물관의 설명에 따르면 이것은 용머리 문양의 팔찌인데, 두 개의 큰 눈 알은 다른 인신수면 무늬에 있는 두 개의 큰 눈알을 간단히 처리한 것 같이 보인다. 팔찌 밑 쪽에는 용의 발톱인지 곰의 발톱인지 모르지만, 짐승의 발톱이 있다.

 

10. 방직용 옷장식


실을 잣기 위하여 실이 들어갈 가는 홈이 옥 장식에 파여 있다. 양저 문화 시대에 방직공업이 잘 발달되어 있었다는 증거이다.

최은관

 

 
Tagged on: